본문 바로가기

Tips/Review

[해커톤 리뷰] 2020 슈퍼챌린지 해커톤

 

안녕하세요!

 

오늘 리뷰해 볼 내용은

 

제가 1월 16일 ~ 1월 17일에 참여한

2020 슈퍼 챌린지 해커톤 입니다!!!

 

 

 개최 내용을 너무 늦게 알게 되어서

해커톤 카테고리에서는 소개를 못 드렸는데요~

 

아쉽게나마 리뷰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!

 

매년 있는 해커톤인 만큼 다음에 참가하게 되신다면

참고하실 만한 내용도 적어볼게요~

 

 

우선, 모집할 당시의 포스터입니다.

 

슈퍼챌린지 해커톤 포스터

 

 

9개의 학교가 공동 주관하고

이번에는 인하대학교에서 주최를 했으며 후원으로는 블록체인으로 잘 알려는 PlayDapp이 나섰습니다.

 

 

저는 친구가 같이 나가보자는 제안에 팀을 꾸려서 나가보게 되었는데요!!

 

신청분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주제가 딱히 정해져 있지 않고

ICBM 전 분야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습니다.

 

 

 

저는 처음에는 5명의 팀원을 꾸려서 신청을 했습니다.

 

사전 행사때 팀빌딩 시간이 따로 있으므로

개인으로 참가하셔도 무방한 대회였습니다.

 

 

팀 빌딩에 있어서는 학교간 교류도 하나의 목적으로서

무조건 다른 학교를 포함한 팀으로 만들기를 권고하고

보통 팀당 6~7의 인원으로 대략 14개의 팀이 만들어 졌습니다.

 

사전 행사에 앞서 신청을 할때도 떨어지는 팀들도 있었는데

저희팀은 제 친구 중 1명이 다른 학교였어서

더 높은 확률로 붙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.

 

 

다시 사전행사로 돌아와서, 

 

Ice Breaking 시간에는 본인이 생각하는 그리고 남들이 보기에

나는 어떤 사람일지를 파악하는 등 재밋는 시간이 있었구요.

 

팀을 이루고 나서 직접 팀명과 팀 로고를 제작해 보는

시간이 있었습니다.

 

팀 로고는 대략적인 초안을 팀이 그려서 제출하면

대회 당일까지 현직 전문 디자이너분이 최대한

로고에 숨을 불어넣어 주시더라구요 ㅎㅎ

 

밑은 바로 그 로고입니다.

 

팀 로고

 

 

TMI지만 Id25 라고 지은 이유는

발음은 아이디어랑 비슷하고 팀원 전부가 반 50이였다는 사실.. ㅋ

 

 

팀로고까지 정하고 대략적인 대회 진행 방식과

물품 지원서에 대한 설명이 있었는데요.

 

 

ICBM을 큰 주체로 하는 만큼

 

실제 현물을 만들어 시연을 할 예정이기 때문에

계발에 들어갈 장비를 만들기 위한 부품을 살 돈을 지원해 준다는 것이었습니다.

 

최대 20만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는데,

저희 팀도 대략 17만원의 부품을 살 수 있었어요!!

 

지원해 주신 주최, 후원측에 감사드립니다!

 

 

 

드디어 대회 당일, 

 

슈퍼챌린지 해커톤

 

 

도착하니, 팀 자리가

똭!!

 

 

저기있는 100만원 권은 

미니게임으로 배치해둔 룰렛으로 상품과 교환할 수 있엇습니다.

 

또, 나중에 발표 순서 정할때도 사용됬어요(소근소근)

 

 

 

 

 

해커톤 후드티

 

 

 

해커톤에서 후드티까지 입어주면,

 

이제 개발 준비 완료!!

 

이때까지만 해도... 한 숨도 못자고 다음날 6시까지 깨어 있을거라고는 

상상도 못했죠 ㅠ

 

 

저희 팀의 구성은

 

기획, PPT, 그리고 발표를 전담 마크할 2명과

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를 전담할 2명

 

그리고 앱과 웹을 전담할 1명

마지막으로 실제 모형을 만들어 줄 1명으로

 

총 6명이었습니다.

 

 

 

팀의 아이디어는 정확히는 말씀드리기 어렵고

 

간단히는 임산부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.

 

 

 

총 개발 시간은

음... 오후 1시에 시작해서 다음날 오후 1시까지

한 것 같아요.

 

처음 해보는 기술도 있었고 

역시 실전을 하다보면 평소 잘 되던것도 

안되는게 있는지라 오래걸렸어요 ㅠㅠ

 

3D 프린터랑 레이저 커팅기를 지원해줘서

사용을 했었는데 그것도 꽤 오래 걸리고 

생각보다 작아서 친구가 맘고생을 했다는 ㅋㅋㅋ

 

 

레이저 커팅기

 

 

 

그래도 중간중간 간식과 식사 시간만은

맛있는 음식들로 준비해 주셔서

행복했습니다~~ ㅎㅎ

 

 

 

개발 시간이 완료되고,

드디어 시연과 발표 시간이 오고야 말았죠.

 

시연 모델

 

 

 

시연은 각 팀당 정확히 3분씩 주어집니다.

대략 3분정도 준비해서 발표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

타이머로 3분을 재시더라구요.

 

이점은 유의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!

앱과 웹 화면은 찍어둔 게 없어 아쉽네요 ㅠ

 

 

시연이 끝이나고

해커톤의 꽃인 발표가 있었습니다.

 

한팀에 5분의 발표와 5분의 QnA시간

주어지고 마찬가지로 타이머로 시간을

재기때문에 시간을 잘 맞추셔야 합니다.

 

 

5분이 지나면 무조건 발표던 답변이던

더이상 할 수 없더라구요.

 

 

5팀을 할때마다 10분정도씩 휴식시간이 있었습니다.

 

 

그렇게 14팀을 다하고 나니까

저녁 6시였어요... 핵피곤 ㅠㅠ

 

진행위원 분들과 심사위원분들도 피곤하셨을 텐데

끝까지 피드백이랑 질문 잘 해주셔서 감사했어요.

 

 

그리고 아마 이번 대회 한정일 수도 있는데

아이디어 또는 아이템의 수익성을 많이 보시는 것 같았습니다.

 

 

어떤 팀이든 거의 한 번씩은 수익구조나 시장 조사적인 부분을

질문하시더라구요.

 

이 점을 저희 팀은 크게 생각을 못하고 아이디어를 기획해서

큰 점수를 못 받았을 거라 생각되네요ㅠㅠ

 

 

 

결국 저희팀의 결과는

 

 

 

베스트 디자인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!!!~~ 

 

베스트 디자인상

 

 

비록, 큰 상을 받지는 못했지만,

 

무박2일동안 6명이 역할 분담 제대로 하고

협업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

과정이 참 재밌었고 뜻 깊엇습니다.

 

 

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협업해 볼 기회가 많지

않기 때문에 해커톤에 참여해서 디자이너분들이나

하드웨어 분야를 전공하시는 분들이랑 일해보면

참 신기한 것도 많고 서로 알게 되는 것도 많은 것 같아요.

 

 

앞으로도, 재밋게 할 수 있거나 참여가능한 

해커톤에 참여하게 된다면,

 

결과에 상관없이 리뷰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또, 여러 가지 우리나라에서 실행되는 해커톤 관련 정보를 해커톤 카테고리에

정리하고 있으니, 관심있으신 분들은 들러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.

 

 

 

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이며~

블로그 구독까지 해주시면 너무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 

그럼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!!